전체 글

전체 글

    Git 레포지토리 만들기

    Git 레포지토리 만들기

    필요할 경우 $ mkdir 을 통해 폴더를 만든다. Window를 이용할 경우, Git Bash를 실행하는 방법을 쓰는데 귀찮을 경우 해당 폴더에서 우클릭 후 Git Bash Here 을 누르면 된다. 버전 관리를 시작하려면 터미널에 git init 을 통해 만든다. Initialized empty Git repository in 가 뜨면 성공.

    Git의 기본, 레포지토리 (Repository)와 커밋(Commit)

    1. Repository 버전별 프로젝트 모습, 버전별 변경 사항에 대한 설명. .git 디렉토리(숨겨진 디렉토리) 가 레포지토리이다. 2. Commit 프로젝트 디렉토리의 특정 모습을 하나의 버전으로 남기는 것.

    git 덮어쓰기

    이것저것 개발을 하다보면 전부 꼬여서 고생할 때가 있다. ctrl+z로도 한계가 있고.... 소규모일땐 git clone을 이용할 수도 있다지만, 다시 설정을 해야하기도 귀찮다. 갈수록 프로젝트가 대규모가 될 수록 clone을 이용하기 어렵다. 현재 파일을 전부 덮어쓰고 싶을 때, 이 명령어로 git 저장소에 있던 상태 그대로 덮어쓸 수 있다! git fetch --all git reset --hard origin/master