프로그래밍(Programming)
![Git 커밋 (Commit ) 하기](https://img1.daumcdn.net/thumb/R750x0/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g.kakaocdn.net%2Fdn%2FAuzjo%2FbtrCMaSi9FA%2FXsVC4jz1rTNkSgf04Grd70%2Fimg.png)
Git 커밋 (Commit ) 하기
Commit 에 중요한 것은 commit 한 사람을 기록하는 것이다. 협업할 때 중요하기 때문! 기록할 이름/이메일 설정하기 git config user.name "이름" git config user.email "이메일" 커밋하기 커밋에는 이름, 이메일, 커밋 메세지 (커밋에 대한 정보,변동사항)는 필수! git commit -m "메세지 내용" (-m은 메세지 옵션이다!) Add 커밋할 파일을 지정해야한다. 수정된 파일이 커밋에 포함될 것이라고 지정하는 것이다. git add 파일이름 성공 메세지 대괄호 옆 커밋 메세지와 함께, 커밋 변동 사항을 나타낸다. [master (root-commit) 98a34aa] Create calculator.py and License 2 files changed, 6..
![Git 레포지토리 만들기](https://img1.daumcdn.net/thumb/R750x0/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g.kakaocdn.net%2Fdn%2Flc8Vx%2FbtrCKkOS8Lq%2FKFjAuEYWPOwKKgeIEF2Lsk%2Fimg.png)
Git 레포지토리 만들기
필요할 경우 $ mkdir 을 통해 폴더를 만든다. Window를 이용할 경우, Git Bash를 실행하는 방법을 쓰는데 귀찮을 경우 해당 폴더에서 우클릭 후 Git Bash Here 을 누르면 된다. 버전 관리를 시작하려면 터미널에 git init 을 통해 만든다. Initialized empty Git repository in 가 뜨면 성공.
git 덮어쓰기
이것저것 개발을 하다보면 전부 꼬여서 고생할 때가 있다. ctrl+z로도 한계가 있고.... 소규모일땐 git clone을 이용할 수도 있다지만, 다시 설정을 해야하기도 귀찮다. 갈수록 프로젝트가 대규모가 될 수록 clone을 이용하기 어렵다. 현재 파일을 전부 덮어쓰고 싶을 때, 이 명령어로 git 저장소에 있던 상태 그대로 덮어쓸 수 있다! git fetch --all git reset --hard origin/master
Javascript 스타일 가이드
자바스크립 스타일 가이드 자바스크립트 코딩 스타일에 대해 고민이 된다. 갈수록 길어지는 코드 구조를 어떻게 해야할까? 코드 내용이 짧다면 어떻게 정리해도 알아보기 어렵지 않은데, 많을 경우에는… 😂 그래서 알아봤다! 깔끔하게 코딩할 수 있는 스타일 가이드! 1. 가로 들여쓰기 2개 or 4개! 스페이스 두 개 혹은 네 개를 사용한다. 2. 세로 들여쓰기 논리 블록 사이에 빈 줄을 하나씩 넣어 코드를 분리해주자. 가독성 좋은 코드를 만들기 위해선 세로 들여쓰기 없이도 아홉 줄 이상 쓰지 않기로! function pow(x, n) { let result = 1; // ESLinter 설치 및 사용 방법 참고/출처: https://ko.javascript.info/object-basics
![ESLint 설치/사용방법](https://img1.daumcdn.net/thumb/R750x0/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g.kakaocdn.net%2Fdn%2FbsptQC%2FbtrBhgNCcHg%2FQOCkngKgmDUrvKnI88nek0%2Fimg.png)
ESLint 설치/사용방법
ESLint 설치 및 사용방법 1. Node.js를 설치하기 Node.js를 설치했다면, terminal에서 다음 명령어를 실행합니다. npm init 2. ESLint 설치 다음 명령어로 ESLint를 설치합니다. npm install eslint --save-dev # or yarn add eslint --dev 3. 다음 명령어로 configuration file을 만듭니다. npm init @eslint/config # or yarn create @eslint/config +) 만약 package.json이 존재하지 않는다면, 1로 돌아가 npm init or yarn init 을 먼저 실행하세요! configuration file을 만들면, 질문들이이 나옵니다. 개인의 사용 목적을 묻는 것이므로..
![JS 변수/상수 선언](https://img1.daumcdn.net/thumb/R750x0/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g.kakaocdn.net%2Fdn%2FJx8fR%2FbtrBfJVEzjK%2F8IuCCuyuTzNiKWpuj2cKNk%2Fimg.png)
JS 변수/상수 선언
변수 변수는 데이터를 저장할 때 쓰이는 '저장소'입니다. 변수를 선언할 때는 let을 사용합니다. let variable1; let은 값이 변경이 가능한 변수일 때 사용합니다. let playerNum = 3; playerNum = 5; //가능 상수 const는 값이 변경되지 않는 상수를 선언할 때 쓰입니다. 상수는 재할당이 불가합니다. 변수값이 변경되지 않는다면 const를 사용하여 값이 변경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. const variable2 = 30; variable2 = 0.3; //error 주의: 하드 코딩한 상수의 경우, 대문자를 사용해 선언합니다. 아닐 경우엔 아래와 같은 명명규칙에 따라 선언하면 돼요. //하드코딩 상수 const COLOR_B = '#0000FF' const ..